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을 보았다.
예전에 다른 나라에서를 광주극장에서 봤었는데, 너무나 적은 관객 속에서 혼자만 깔깔 웃으면서 봤었더랬다. 유준상의 뻔뻔함과 능청스러움, 문성근의 찌질한 집착을 보면서 혼자 깔깔깔. 이 포인트에서 웃는 내가 이상한걸까 싶었는데, 이번에 상상마당에선 꽉 찬 영화관에서 영화를 봐서인지 너무나 기분이 좋았다. 다들 함께 웃는 그 기분이란. 나는 홍상수 감독 영화를 보는 사람들은, 영활 정말 좋아하는 사람들일거야 라는 고정관념이 있는데 역시나! 다들 영화관 매너가 너무 좋았다. 휴대폰을 켜대는 사람도 없는 듯 했고, 와작와작 과자를 먹는 사람도 거의 없었고:)
친구가 올린 포스터 한 장
이 포스터 한 장에 반하고, 제목에 반해서 몇 달을 기다렸는지. 아 정은채. 너무너무 예쁘다.
내가 연예인이나 배우들에게 별 애정을 못갖는 사람이라는 걸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데, '얘들아 나 이제 정은채의 빠돌이가 되기로 하였어!' 라고 영화보고 오만대다가 자랑을 하고다녔다.
그런데! 그렇게 기다려왔음에도 불구하고, 늦장을 피우다가 십 분 정도 영화관에 늦게 입장하고 말았다. 제인 버킨이 나왔다는 초반 10분은 그렇게 날려버리고...
여느 홍상수 영화처럼 영화는 해원의 일기장 기록에서 시작되는 듯 하다. 나는 해원과 엄마가 길을 걷는 부분부터 보았다.
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이라는 제목을 보고 나는 해원이 누구를 만나고, 어떻게 변하는 가에 초점을 두고 영화를 보았다. 어머니 앞에서의 해원, 이 감독 앞에서의 해원, 낯선 교수 앞에서의 해원, 친한 언니 앞에서의 해원 ... 그 중 엄마 앞에서의 해원 모습이 너무 사랑스러웠다. 떠나는 엄마를 바라보며 울컥하는 말을 삼키는 정은채의 연기와 엄마와 공원에서의 일상 대화를 보며 감탄을 했다.
이 감독 앞에서의 해원 역시 사랑스러웠다. 불륜 관계의 그 오묘한 흐름이랄까? 무척 자연스러운 연기 같다고 생각했다. 그러고보니 친한 친구 앞에서의 해원도 사랑스러웠구나. 안 사랑스러운 장면이 없었네..^^;;
영화 속 친구들과 유준상, 예지원의 대화를 보며 한국 사회에 적응을 못하는 해원의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 생각을 해보았다. 한국
사람 특유의 오지랖과 그룹에 편승하지 못하는 남을 깎아내리는 모습, 남녀관계에서 유독 돌출되는 가부장적 모습-나는 되지만 너는 안돼! - 등을 적응해나가지 못하면, 한국에 적응을 못하는 사람이 되는 것일까? 이번 영화 속에서의 남자들은 하나같이 다 아이같았다. 해원이 가장 성숙해보였던 것 같아.
이선균의 찌질함과 꼰대스러운 연기, 유준상의 능청 연기도 어떤 경지에 이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. 홍상수는 이번에 이선균을 아주 병신 만들기로 작정했구나! 라고 생각하며 정말 많이 웃었다. 더 사랑한다는 것이 마치
권력이라도 되는 것마냥 행동하는 이선균의 모습을 보며 지나간 나의 모습이 떠올라 씁쓸하기도 했다만...
예전 처음 홍상수 영화를 봤을 땐 특유의 어색한 대화들이 싫었다. 늦게서야 대본이 없이 촬영을 해서
그렇다는 걸 알았지만. 요번 영화에선 그러한 어색함들이 난 너무나 좋았다. 합이 자연스러운 대화도 좋을 때가 있지만 홍상수 영화처럼 일상이 묻어나는 영화들은 이러한 어색한 자연스러움(?)이 너무도 잘 어울리는 것 같다.
여튼 이번 영화는 참 한국적인 색깔이 뚝뚝 묻어난 영화였다고 생각한다. 모르는 사람은 이상한 줄 절대 모르는 한국적 코드 사이를 비집고 나오는 해원의 모습, 너무너무 좋았다.
* 매번 영화 속에서 영화학과 교수가 된 주인공의 상황을 난처하게 만드는 술자리 씬이 있는 홍상수. 어떤 사연이라도 있는 것이 아닐까 궁금해졌다.
** 해원이 다른 남자를 만날 때마다 꽁초를 지긋이 밟는 씬이 있다. 그 씬을 여러 번 넣은 것을 보며, 한국 사회의 어떤 돌출된 남성의 모습을 담배 꽁초에 비유하고, 밟아버린 것은 아닐까? 라는 생각을 했다면, 조금 오버일까?
*** 홍상수 영화에서 내가 가장 사랑하는 부분이 있다면, 어떤 인물이나 오브제를 통해 시간의 흐름이 엉키는 부분이라고 말하겠다. 다른 나라에서는 우산이 그 오브제였고, 이번 영화에서는 막걸리를 마시는 아저씨였다.
그러한 씬만 보면 난 소름이 돋을만큼 좋더라!
**** 내가 이번 영화를 재밌게 봤던 이유가 두 개 있을 것 같다. 하나는 해원이 대학생이라는 것, 그리고 또 하나는 내가 지금 바텐더를 하고있다는 것. 바텐더를 하면서 종종 아 저 커플은 무조건 불륜이다 싶은 커플을 보게된다. 바텐더의 입장에서 그네들은 손님이고, 나의 임무는 그들을 최대한 편안하게 해주는 것이다. 도덕적인 관점 따윈 일을 할 때 방해가 될 뿐이기에. 그래서 해원과 이 감독이 마치 내 손님이 된 것 같았다. 얼마나 힘들겠어 본인들도. 나까지 말도 안되는 오지랖 시선으로 그들을 바라보진 말아야지 하고 봐서, 더 재밌었던 것 같아.
'봤습니다 > 영화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퍼시픽 림 (2) | 2013.07.17 |
---|---|
실버 라이닝 플레이북 (0) | 2013.07.17 |
130122 화제의 영화 아무르를 봤다. (4) | 2013.01.23 |
2013 첫 영화 라이프 오브 파이 (3) | 2013.01.02 |
루퍼 (0) | 2012.11.02 |